논술 쓰는법 1.
- 단어를 보편적이게, 구체화하고 명료화하라.
우선적으로 논리적인 글을 쓰는 방법과 문학적인 글을 쓰는 방법을 구분해야합니다. 문학적인 글은 단어들이 언어유희, 감성적, 참신성을 통해 독자의 내면 깊은 곳의 감성을 불러 일으킵니다. 반면 논리적인 글의 단어는 보편성, 타당성, 구체적인 특징을 지니고, 이를 통해 독자를 충분히 설득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논리적인 글이란 문학적인 글과는 달리 어떤 주제나 쟁점에 대해 자신의 주장을 제시하고 이러한 주장이 옳고 그른지 증명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입니다.
다음 아래는 제 조카가 쓴 글입니다. 명료성과 보편성을 갖지 못한 단어의 한계를 보여주는 글입니다.
논술 수행 평가) 인간의 감정은 신체에서 비롯되는가? 아니면 정신에서 비롯되는가?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서술하시오. (100자 이내)
인간의 감정은 신체적 요구의 또 ⓵다른 욕구적인 거울이다. 가령 예를 들어 우리가 배고프면 우리의 몸은 배고픔이라는 감정을 일으킨다. 이는 우리 몸에 있는 육체적 욕정의 갈망를 채우기 위해 육체가 정신에게 영향을 주어 그러한 감정을 갖도록 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 다른 예로 우리는 누군가에게 맞으면 화가 난다. 신체적인 손상을 입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상으로 그러한 손해를 매꾸고자 상대방에게 보상적 행위를 하도록 감정을 꾸며낸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본다면 신체가 감정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고등학교 수행 평가로 쓴 글인데 예시를 통해 자신의 주장을 드러낸 글입니다. 여기서는 논증 보다는 제대로 된 단어를 쓰지 못했을 때 글의 설득력이 얼마나 떨어 지는지 위주로 설명하겠습니다.
⓵번을 보면 단어를 너무 장황하게 풀어쓴 흔적이 보입니다. ‘다른 욕구적인 거울이다.’ 는 단어의 응축성을 보여주지 못 합니다. 단어라는 것이 어떠한 장황한 생각을 응축하여 간결하게 보여야하는데, 너무 자신의 생각을 풀어써 오히려 가독성을 떨어뜨리고 보편적이지 못한 비유는 상대방에게 불분명한 의미를 전달하게 됩니다. 이를 “또 다른 반영이다”라고 쓰면 오히려 간결하고 상대방으로 하여금 글이 오히려 잘 읽히는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단어는 어떠한 주제에 대해 그 주제를 함축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공기업을 민영화해야 한다’ 라는 주장이 있다고 하면 여기서 민영화라는 단어는 사전적으로 ‘국가 및 공공단체가 특정기업에 대해 갖는 법적 소유권을 주식매각 등의 방법을 통해 민간부문으로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위의 주장이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공기업을 국가 이외의 사조직에게 넘겨야 한다’ 라는 장황하게 풀어 썼다고 합시다. 이는 오히려 가독성이 떨어지고, 제한된 글자 수로 글을 써야하는 대입 논술에서 글자만 낭비되는 효과만 줍니다.
이렇게 보았듯이 어떤 생각에 대해 그 의미를 함축적으로, 보편적으로, 구체적으로, 타당성을 지닌, 한 사상을 담아낼 수 있는 구체적인 단어를 선택하여, 논증글을 서술해야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중요한 질문은 ‘단어가 중요한 것은 알겠는데 어떻게 공부하여햐 하는가?’입니다.
우선적으로 저는 어떤 특정한 주제를 담은 책을 읽는 것을 추천 드리고 싶습니다. 시간적 여유가 많은 고1~2학생이라면 충분한 사색과 다량의 독서를 통해서 시간을 두고 책을 읽는다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글을 쓸 때 그 단어를 쓰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시간적 여유가 없는 고3이라면 우선적으로 원하는 대학의 기출문제를 풀어보고 개념이 정확하게 이해 안 되는 단어나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단어를 시중에 나와 있는 개념어 사전을 통해 찾아보고 암기하는 형식으로 공부하셔야 합니다.
- 이글은 수정 중입니다.
#대입 논술, 논증, 글쓰기, 주제, 개념어,함축, 공기업, 수행 평가, 문학, 논술문, 논리
'글쓰기 > 대입 논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Q : 여름부터 논술 공부 시작했는데 어느 대학에 지원할까요? (0) | 2016.12.23 |
---|---|
대입 논술 막판 공부법(승부는 이미 결정났다.) (0) | 2016.11.23 |
글의 이해는 글을 요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0) | 2016.11.17 |
대입논술시험에서 “서론 본론 결론“이라는 양식은 없다. (0) | 2016.11.16 |
대입논술에서 삼단 논법의 허구성. (0) | 2016.11.16 |